본문 바로가기

Track of Edu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간단 리뷰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는 객체지향이란 무엇인가라는 원론적면서도 다소 위험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객체지향의 본질을 오해하고 있다. 가장 널리 퍼져있는 오해는 클래스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객체지향으로 향하는 첫 걸음은 클래스가 아니라 객체를 바라보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객체지향으로 향하는 두 번째 걸음은 객체를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협력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세 번째 걸음을 내디딜 수 있는지 여부는 협력에 참여하는 객체들에게 얼마나 적절한 역할과 책임을 부여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객체지향의 마지막 걸음은 앞에서 설명한 개념들을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틀에 흐트러짐 없이 담아낼 수 있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객체지향이란 무엇인가? 이 책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모든 개발자를 위한 책이다.
저자
조영호
출판
위키북스
출판일
2015.06.17

프로그래밍에 정답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리얼타임으로 돌아가는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시간과 돈이 유한하기 때문에
때로는 대충짜더라도 돌아가기라도 하는 것이,
때로는 신뢰성 측면에서 매칭이 되어야 하는 것이 최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서문을 읽으며 많이 놀란 책이다.
프로그래머가 아닌 일반 사람도 읽을 수 있도록 썼다고 했다
내가 어느 정도 이해한 것을 보면 서론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그 뒤를 읽으면서 더 놀랐다
이전에는, 내가 부족한 것이라서 그런지, 깨끗하다는 것이라든가, 재탕이라든가, ~주도 개발을 보면서
왜 해야하는지 모르겠다든가, 굳이? 라든가, 무슨 말인지도 모르겠던 개발 서적들이 두루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실마리가 잡히기 시작한다.
물론 그 이전의 책들을 통해 맨 땅에 헤딩을 많이 하다보니 요령이 생긴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다음 책이 궁금해졌다. 처음으로.
별개의 책처럼 썼다고 했지만, 같이 보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호평은 다른 리뷰에서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나만의 평은, 역시나 곡해를 하고 있는지 조금 걱정되지만, 두 단어로 하겠다.
담백하고, 우직하다.

'Track of 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샘 프리미엄  (2) 2024.01.30
소규모 스타트업을 여러번 겪으며  (1) 2023.11.28
샘 프리미엄 리스트  (0) 2023.07.31
AI 대회 후기  (0) 2022.10.23
DL  (2) 202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