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of Design
대부분의 것들이 생물이다
한글순화운동
2025. 4. 7. 00:43
가장 목록에 걸맞는 타이틀과 내용이 되겠네요.
며칠 전, 아이디어 컴퍼니 회사의 대표님이 쓰신 책을 읽게 되었고, 홀린듯 친구와 함께 강연회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나름 깨달음도 주는 것 같아 격주 스터디의 주제로도 삼아 세미 발표도 하게 되었지요
그런데, 강연회를 들으면서도 느꼈지만 피드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었습니다
무언가의 탄생은 책을 쓰게 만들 만큼의 울림이 되었다지만
그 탄생의 쇠퇴 등 이후는 잘 다루지 못한다는 것이죠.
특정 개념이나 트렌드 역시도 하나의 생물 같아서,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고 전성기가 있으면 쇠퇴기도 있게 됩니다.
제 주제에 지적질이지만 이것도 노이즈가 될 테니 그냥 공개하겠습니다
이것은 작은 브랜드를 위한 책(확장판)
“매출의 크기가 아니라 존재감의 크기로 성장하는 시대” “큰 브랜드의 시대는 갔다. 이제는 작은 브랜드의 시대. 우주에 흔적을 남기는 작은 브랜드가 돼라!”
- 저자
- 이근상
- 출판
- 몽스북
- 출판일
- 2025.02.10
작은 브랜드가 유명세를 얻어 큰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 자체가 대단하지만,
그것이 원히트원더였나요, 그 이후 사라지게 되는 걸 원하지는 않을 겁니다.
마치 연예계처럼, 한 번이라도 조명을 받는 걸 원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보이지만요.
특정 브랜드는 저격이 될 수 있기에 직접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가장 인상깊은 브랜드로 소개시켜 주셨던 한 브랜드는 최근 품질 문제로 사과문을 발표했는데도 나아지지가 않고 있고,,
또한 하나의 먹는 브랜드는 최근 구매시켜 먹어 봤는데 제조를 외주로 하더군요?
조명이라는 것은 어두운 곳에 더 필요한 것 같은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