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니콘

(2)
지역 커뮤니티 기반 경제 SNS는 사실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광고판을 달듯이, 온라인으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곳에 데이터를 기반으로 뭔가를 광고하는 것이죠. 여기서 나오는 데이터라는 것은 보통 쿠키나 캐시 등으로부터 비롯됩니다. 세계 대부분의 검색이 이루어지는 구글이기 때문에 보통 구글애드를 달죠. 하지만 그게 꼭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일회성 소비로 이미 관심이 식었을 수도 있고 요즘처럼 심심풀이로 검색을 하는 시대에서는 더더욱 그렇죠. 물론 아예 관심없는, 다시 말해 검색까지도 가지 않는 것은 걸러준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하나의 조건을 추가하면 그 타겟이 아주 명확해집니다. 글로벌시대에 걸맞진 않아보이지만 바로 지역이죠. 적어도 위치정보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많은 부분에 영향을 끼칩니다. 종속되기도 하구요..
[Unicorn] 센드버드 SENDBIRD 2013년 설립. SaaS 기업 가치라는 것이 두부 자르듯 어떻게 딱 떨어질 수 있겠냐는 측면에서, 타이틀의 유니콘이라는 것이 참 부질없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상대적이겠지요. 유니콘이 되길 바라던 스타트업에게는 무궁한(!) 영광이...) 그리고 스타트업에 국적을 붙이는 것 역시도 그렇게 매끄러운 혹은 자연스런 현상은 아닙니다만 오늘 소개해드릴 센드버드는, 한국의 유니콘 리스트에 포함된 가장 근래의 스타트업입니다. 이렇게 주저리 시작한 이유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서 다시 국적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고, 코로나로 인해서 심해진 인종차별, 그리고 실제 스타트업 업계에서의... 영향력이라고 해야할까요 그런게 매우 크거든요. 우리가 있던 동네/캠퍼스에서 유니콘이 나왔다라든지 우리 분야에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