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도구들[리드잇 zine 2호]
개발자가 만든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라는 데스크탑/랩탑 위에서 실행되는 IDE 소프트웨어에서 나옵니다. 더불어 에뮬레이터나 실기기도 필요하죠.
이번 리드잇진의 2호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의 도구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한 때 리액트를 할 때 MERN 등의 스택 조합 약어가 유행했었는데, 이러한 스택 조합이 잘 맞는다면 스택오버플로를 통해서 바로바로 적용가능해서 좋더라구요.
반면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할 때에는 백엔드 이외에는 다채로운 라이브러리를 섞어서 활용하기 시작했고,
이런 개발 현상은 앞으르도 지속될 것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결국 책 내용은, 작게는 이런 스택 조합에서부터 IDE는 뭘 쓰며, 나아가 개발의 방법론 및 하드웨어까지 아우르고 있습니다.
저는 독서스터디를 하기 위해서 이북 => 인쇄본으로 넘어오다가 부록으로 받았는데요,,,
마침 또 독서스터디원 한 분이 출고?를 하셨기에 미뤄두다 미뤄두다 한 달여만에 읽게 되었네요.
그 분의 지론?에 따르면 마소의 서피스 아크마우스/트래블 허브 및 루스트 스탠드 그리고 애플매직키보드가 좋다고... 하십니다 ㅎ
집에서 매직키보드 쓰다가 엄청 짜증냈는데, 이런 것들도 다 조합이 있는 거겠죠...?
매직마우스였나요, 그것도 민감도만 제어 및 충전할 때 엎어높지만 않아도.... 쓸 데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저는 아직도 매직키보드가 10만원씩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쿨럭. 이외에는 안써본 것도 있어서 다 동의하구요 ㅎ
책 후반부에 실무 인터뷰도 있으니 업계 사람들은 이렇구나~ 라는, 반쯤 광고이자 좀 나쁘게 말하면 성의없는 인터뷰들도 참고하기엔 나쁘지 않았습니다.
'Track of 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활.리. 3탄 생성 (0) | 2021.12.30 |
---|---|
패.활.리. 책리뷰 2부 (0) | 2021.12.16 |
제목 분석. 패턴이란? 리팩터링이란? (0) | 2021.11.29 |
북리뷰_패턴을 활용한 리팩터링 (0) | 2021.11.25 |
Kotlin 둘 (0) | 2019.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