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그리고 IaaS, PaaS.. 인공지능...
요즘 유행하는 용어들이죠.
그 시작점은 아마존의 aws였고, 지금도 아주 뚜렷한 선두주자 입니다.
그 뒤를 이어 구글의 GCP,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도 뛰어들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특정 기업의 서비스 이름이 하나의 개발 스택이 되고,
10년 전의 특정 플랫폼 자격증처럼 여겨지는 시대입니다.
한국은 플랫폼적인 측면은 참 약한 것 같은데, 현황은 어떨까요.
가히 소프트웨어의 불모지같은 곳에서, 몇몇 기업들이 고군분투 중입니다.
그러다가 라인의 네이버가 운영하고 있는 제목을 발견합니다.
(예전에는 네이버의 라인이었다면, 이젠 라인의 네이버가 맞는 듯 합니다.)


출처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페이지.
생각보다 많아서 놀랐습니다.
예전 네이버지도 api를 빼돌리는?걸 보고 수작인가 싶었는데, 이제는 어엿하게 하나의 플랫폼적 측면을 갖춘 듯 합니다.
여전히 관련 개발자 풀이 적고, 필연적으로 튜토리얼이나 구글링하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밥상이 어디입니까.
여전히 몇몇 api플랫폼에 지나지 않은 케이도 있잖아요.
잘 될지는 함부로 예측이 힘든 것 같습니다.
사실 이미 과점시장이 되어버린 플랫폼이고, 라인도 개발자 풀에서는 미미한 동남아에서 수위 플랫폼일 뿐이지만
분명 시장 선도자의 아마존이나, 이걸 가성비로 밀어붙이려는 구글 및 마소에 비해서도
아직은 로컬기반, 그리고 여전히 개척되지 않은 시장이 많다는 것은 희망적인 사항입니다.
무료로 푼다고 다 되는 건 아니겠지만,
미약한 조언 혹은 지나가는 말을 하자면,
정말 개발자 친화적인 종합 플랫폼이 되었으면 합니다.
후발주자에, 환경요소도 부족하다면 타겟팅과 친절한 서비스는 필수죠.
시각화된 깃 관리, 개발자 커리어 관리겸 퍼포먼스 기록툴, 그리고 스타트업 종합 환경까지...
'Trend of B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로라 Aurora (1) | 2020.12.15 |
---|---|
클라우드 api (0) | 2020.07.24 |
온라인 오피스 (0) | 2020.02.28 |
무료와 유료, 그리고 규모에 대하여 (0) | 2019.10.31 |
리텐션Retention by BRAND (0) | 2019.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