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의 스마트워치가 잘 팔리지 않는 것에 비해서,
애플워치는 아주 잘 팔립니다.
이전과 달리 갤럭시 브랜드 스마트 워치가 애플기기에서 공식적으로 호환이 되지 않아서 일까요?
혹은, 강력한 경쟁자가 나타난 걸까요?
갤럭시기어S과 같이 초창기 갤럭시를 쓰다가 결국 샤오미로 넘어오게 되면서 느낀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그것도 최신 기종인 샤오미 워치 S1이 아닌 구형 미 워치로 넘어오게 된 이야기를 써보고자 합니다.

(공식적인 무언가가 아니라 썰로써 파생시키게 됨을 양해바랍니다)
카더라를 차용하는 이유는, 흔한 마켓 지표가지고는 시장을 설명하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많이 팔린다고 다 혁신이 있거나, 스펙적으로 우위가 있는 건 아니거든요. 효용은 더 크겠지만요.
카더라의 시작은 이겁니다. 갤럭시 스마트워치가 꼬이게 된 것은,
갤럭시는 '스마트'에서 이 제품군을 바라보았고,
애플은 '워치'에서 이 제품군을 바라보았다는 것입니다.
그랬기에 갤럭시는 초반에 전화기능도 넣어보고, 카메라도 달아보고…
파생작인 밴드류나 핏 등등을 만들어냈다고 봅니다. 스마트 기기니까요.
반면 애플워치는 연동이 되는 애플의 시계였죠.
컨셉이 명확한 곳과 그렇지 않은 것,
그리고 기존 브랜드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그렇다면 샤오미는 어떤 위치일까요.
샤오미의 스마트폰 생태계보다 더 엉망인 이 곳…
스마트 밴드에서는 가성비로 통일을 했지만,
그 이상은 신기하게도 팔리지 않는 시장.
분명 가성비로는 최고지만, 그 이상은 없는 그 곳.
사실 서로 사용하는 기능은 무차별합니다.
다만 이번 샤오미가 고급형 S1을 출시한 것을 보고,
이 쪽도 참 통일된 컨셉유지를 못하는 구나 싶었습니다.
출고가로 보나, 테마로 보나, 하드웨어로 보나..
홍미(노트)처럼 제품 출시 주기도 없고, 명확한 타겟 고객도 없는.
저는 그래서 제가 원하는 두 포인트, 배터리와 가성비를 보고
기존 미워치 라이트에서 구세대 기기임에도 미워치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저는 스마트와 워치 기능 어디에서도 사파이어 글라스를 찾지 않거든요.
'Trend of B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 시즌 2 (0) | 2022.11.21 |
---|---|
새로운 재화/서비스를 판매하는 법? (0) | 2022.07.21 |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업데이트를 보며 (0) | 2021.09.29 |
지역 커뮤니티 기반 경제 (0) | 2021.08.21 |
오로라 Aurora (1) | 202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