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5)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클라우드 컴퓨팅. 그리고 IaaS, PaaS.. 인공지능... 요즘 유행하는 용어들이죠. 그 시작점은 아마존의 aws였고, 지금도 아주 뚜렷한 선두주자 입니다. 그 뒤를 이어 구글의 GCP,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도 뛰어들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특정 기업의 서비스 이름이 하나의 개발 스택이 되고, 10년 전의 특정 플랫폼 자격증처럼 여겨지는 시대입니다. 한국은 플랫폼적인 측면은 참 약한 것 같은데, 현황은 어떨까요. 가히 소프트웨어의 불모지같은 곳에서, 몇몇 기업들이 고군분투 중입니다. 그러다가 라인의 네이버가 운영하고 있는 제목을 발견합니다. (예전에는 네이버의 라인이었다면, 이젠 라인의 네이버가 맞는 듯 합니다.) 출처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페이지. 생각보다 많아서 놀랐습니다. 예전 네이버지도 a.. AWS Innovate 2018 [2018년 7월 19일 현재 점심무렵, 진행중입니다 = OnAir! ] 컨퍼런스 및 모임들을 많이 다녔습니다. 세상은 분명 엄청 넓은데, 굳이 돈을 들여서 사람들을 이렇게 모으는 이유가 있겠지요. 때로는 제품/서비스 광고일 수도, 때로는 유용한 산업 트렌드를 얻을 수도 있고 종종 좋은 사람들을 만날 때도 있었습니다. 더불어 한창 핫한 분야인 스타트업 / 특히 테크 기반의 스타트업을 하다보니 그런 듯 합니다. 무슨 일이든 다 머신러닝/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이 언급되지 않은 분야가 없습니다. 그래서 허탕을 친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ㅋ 며칠 전, 클라우드 제반 서비스의 선두주자?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서 컨퍼런스를 한다는군요. 여기는 워낙 자주하는데, 또 어떤 서비스를 런칭을 해서 .. [Unicorn][Decacorn] Slack 사실 스타트업의 가치는 모호한 경우가 많습니다. 측정 시기에 따라서도 그 차이가 엄청크며, 여러 투자, 혹은 M&A 루머로 인해 그 가치가 수직상승 혹은 낙하하기도 합니다. 저번에 포스팅 했던 메이투안디엔핑의 경우에는, 알리바바의 지분 매각 '썰'로 인해 충분히 데카콘에 들어갈 만 했지만, 그게 검증이 되지 않아서 표기를 하지 않았었는데, 이번 역시도 '썰' 뿐이지만 그 확장성이 더 크기때문에, + 인수 합병에 있어서 경쟁자들이 많기 때문에 이렇게 데카콘으로 표기해 봅니다. Slack은, 캐나다에서 Founded된 기술 기반 스타트업입니다. 국적은 미국이구요, 굳이 스타트업에 관심이 없더라도, 요즘은 팀프로젝트에서도 활용되는 협업 툴입니다. 위키에 따르면 팔천여명이 뛰어들어야 과금이 된다던데, 이미 7만.. [Software][AI][Platform] AI Cloud Computing 더이상 인공지능이라는 말은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 이 특정 어휘에 대해서 어떤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끼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경외감을, 어떤 사람들은 호기심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저는 세 가지 모두가 해당되는데, 이 포스팅을 올리는 지금은 두려움이 강하네요. 인공지능이라는 것이 인간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에 대한 경종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뭔가 제대로 된 AI가 나오지 못하고 있고 + 못할 것 같다는 느낌때문에요. 딥러닝 입문을 썼던 것처럼, 한 때에는 AI 쪽에 발을 깊게 담궜었는데, 최근에는 스타트업 때문에 학습이 게을러졌네요. 역시나 지식은 휘발하고... (휘바휘바~) 그러다가 100여일만에 다시 마음을 다잡고 ( 더 바쁘게 살거나, 하던 것에 영향이 가겠지요) 마이크로소프트의 AI 강의를 듣.. Cafe 24 6개월 간의 호스팅 체험기 겸, 현재 세계 최대의 부호가 되어버린 베조스, 그리고 최대 기업이 되어가는 아마존의 핵심 컨텐츠는? 저도 잘 몰라서 물음표를 달아봤습니다. 아-주 예전 한국오라클의 면접장에서 면접관이 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대략 5년은 넘은 것 같은데, "아마존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은 뭐죠? 아마존은 뭐하는데죠?" 특정 자격증 때문에 면접관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던 그 분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책파는데요. ... 그 당시에는 MIS 수업에서 들었던 클라우드 개념으로 ( 이 때 세일즈포스를 알았더라면. ) 클라우드 컴퓨팅을 본격적으로 하려나 부다, 정도만 알고 있었던 당시였습니다. 제가 지금 딥러닝 자료를 찾고 있을 줄 몰랐을 때였거든요. 그리고 채용공고를 보나, 투자 금액으로보나, 움직으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