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end of Biz

(39)
인공지능과 채용시장 한국처럼 신기술, 신축 등을 좋아하는 나라는 드물 껍니다. 동네 골목들도 죄다 원룸천지로 변해가는 세상에서,,, 참 천치같은 모습같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열광도 그렇습니다. 물론, 패스트 팔로워에 대한 타고난? 감각과, 빨리빨리 라는 정신으로 대변할 수 있는 모습으로 본다면, 자연스러울 수 있다 칩시다. 다만 그 깊이는? 그 정수는 어디있는 지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 것이 문제랄까요. 물론 저 역시도.. 다만 제목과 같은 부분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제 의견을 말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경험해봤고, 단점과 장점이 아주 잘 보이거든요. 인공지능과 채용시장. 사실 인사담당자 분들이 윗선에 덜 휘둘렸다면, 혹은 한 번만 더 깊이 생각해봤다면 이런 짓은 안할 것 같습니다. 어느 인사팀..
스타벅스와 냅킨 최근 스타벅스에서 냅킨에 들어가는 메시지에 변화를 줬습니다. 이전에는 STARBUCK, 그리고 표백제를 쓰지 않는다는 심플함이 돋보였습니다. 본격적으로 스타벅스를 이용한 것은 2015년부터입니다. 학생 입장에서는 딱히 스타벅스의 효용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그 전에는 별로... + 사실 남자끼리 친목으로, 혹은 회사에서 커피숍을 가게 된 시기는 채 10년도 되지 않습니다. 물론 10년 전에는 스타벅스도 많지 않았죠. 자주 스타벅스를 이용하게 되면서 느낀 것은, 브랜드 스토리라는 것이 있어서, 신규 매장이든 예전 매장이든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스타벅스 로고가 나름 친숙했고, 스타벅스를 가면 평타 이상은 할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이는 냅킨을 보면서도 마찬가지로 느꼈습니다. 요즘 뜨거..
Brower Selection 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대변되는 시장인데요, (특히 한국에서는요) 지금은 시간이 많이 변했죠. Mac 및 iOS의 보급으로 사파리도 많이들 사용하시고, 개발자 분들은 크롬이나 파이어폭스를, 그리고 모바일에서는 또 나름의 - 돌핀이나 삼성브라우저..?- 브라우저들을 많이 사용하시죠. 제가 늦게 접했는지 몰라도, 데스크탑 환경의 브라우저들을 모아서 최신 버전 업데이트를 서포트 하는 곳이 있습니다. 출처 : 브라우즈 해피 홈페이지 이 사이트를 보면서 드는 생각은, 1. 좋아요 갯수를 보면서 트렌드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야 인터넷 익스플로러 독점이었다면, 파폭과 크롬이후 브라우저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방?된듯 합니다. 특히 웹개발자들을 위한 크롬이 보편적으로 확장이 되었습니다. 속도 측면..
[A.I.] Telecom's direction 인공지능AI 비서 및 스피커 시즌 3입니다. 이번에는 이전에는 약간 소홀히 다뤘던 기가지니와 누구가 왜 그럴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하는데요, 무언가 플랫폼화 및 제품화 그리고 API 제공 등에 있어서는 의외로? 앞서나가는 중입니다. 다만 그 품질(?)에 관해서는 제가 함부로 왈가왈부 하기에는 조금 그래서... 그리고 통신사끼리 비교하자면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는 것도 없지 않아 있죠. 내로라하는 회사와 비교와, 동종업군 비교는 다르니까요. 여튼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우선, 유럽여행에서 사용해봤었던 유럽의 통신사, 오렌지 텔레콤의 징고Djingo입니다. 최근 장고Django를 공부해서인지 좀 익숙한 어감인데요, 출처 : 오렌지 텔레콤 홈페이지 추후 소개할 두 곳의 서비스와는 달리 이미 스피커 제품군까지 보유..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Tool 세상이 엄청 빨리 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변화를 따라잡으려는 노력이 일상 곳곳에 스며듭니다. 단순히 한국인의 고유명사 빨리빨리가 아니라, 전체적인 효율을 올리기 위한 속도내기가 요즘의 트렌드라 할까요. 물론 컴퓨터의 성능이 올라가고, 스마트폰의 성능도 올라가면서 전체적인 연산 속도가 빨라진 것이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일 것입니다. 예전에는 엄두도 못낼 일들이, 이제는 기계의 도움을 받고 있으니까요. 더불어 그 기계를 최적으로 활용하는 프로그래밍도. 그래서, 일터에서의, 혹은 직장에서의 업무 방식도 변하고 있습니다. 일터에서 -> 직장에서로 굳이 다시 쓰는 이유도, 재택근무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며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대규모 프로젝트 역시 그 사이클을 보면 속도가 장난이 아닙니다. 애자..
[Baas] Back4app 중국 기준으로는 살짝 한 풀이 꺾인 것 같습니다만, 여전히 스타트업은 하나의 메인 트렌드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스타트업의 대부분은 기술 기반인 경우가 많죠. 기술이 주된 요소가 아니더라도, DB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번 카페24처럼 호스팅 업체들이 많이 생기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Backend 를 커버하는 산업?을 Baas, Backend as a Service라고들 하더군요. 서버나 DB, 호스팅 처럼 뒷단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케어해주고, 나아가 여기서 나오는 데이터들을 분석해주는 도구들을 제공해줍니다. 저는 Cafe24를 이용하다가 Firebase로 옮겼는데요, 뭔가 제대로 활용도 못해보고 옮기게 된 점은 좀 아쉽지만, 요즘처럼 코드 몇 줄로 땡! 치는 시대에 직접 PHP 파일을 옮겨놓는 형식은, ..
[Logistics] No Brand by eMart 알게 모르게? 요즘 생활의 모습을 많이 바꾸도록 도와준 분야가 바로 물류죠. 세계 최대의 기업이 되어가고 있는 아마존 역시도 물류로 성장해 왔고, 요즘 인터넷쇼핑 대부분은 해보셨을 것이고, 저처럼 거의 인터넷 쇼핑만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고.. 한국이라는 이 작은 땅에, 몇몇 대기업들이 물류산업을 과점하고 있지요. 나름 산업장벽이 있는 곳이라서, 일정 규모나 자금없이는 들어오기 힘든 부분도 있습니다. (서울시의 강남이라든가, 홍대라든가 등등 작은 지역을 기반으로하는 물류 간접 서비스도 많긴 합니다.) 아무튼 그 대기업중에 하나인 이마트 - 혹은 신세계에서 내놓은 것이 있습니다. 바로 No Brand. 스타벅스 코리아 관련해서 사과 한 마디도 할 줄 모르는 멍청이들이기도 합니다만, 단순히 PB상품 전시를..
Cafe 24 6개월 간의 호스팅 체험기 겸, 현재 세계 최대의 부호가 되어버린 베조스, 그리고 최대 기업이 되어가는 아마존의 핵심 컨텐츠는? 저도 잘 몰라서 물음표를 달아봤습니다. 아-주 예전 한국오라클의 면접장에서 면접관이 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대략 5년은 넘은 것 같은데, "아마존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은 뭐죠? 아마존은 뭐하는데죠?" 특정 자격증 때문에 면접관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던 그 분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책파는데요. ... 그 당시에는 MIS 수업에서 들었던 클라우드 개념으로 ( 이 때 세일즈포스를 알았더라면. ) 클라우드 컴퓨팅을 본격적으로 하려나 부다, 정도만 알고 있었던 당시였습니다. 제가 지금 딥러닝 자료를 찾고 있을 줄 몰랐을 때였거든요. 그리고 채용공고를 보나, 투자 금액으로보나, 움직으로..